포트폴리오 / 하우징

창조재

사이프러스9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사이프러스9

중정 주택 창조재

패시브 하우스 / 한국패시브건축협회 인증 주택


창조재는 김포 택지개발지구 내 자리 잡은 단독주택이다.

웹툰 작가인 건축주는 다소 불규칙한 생활 방식 등으로 인한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공간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도심 단독주택에서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공간 구성 방식은 집을 설계하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프라이버시는 외부로부터 차단된 공간의 의미가 아니라, 라이프 스타일에 입각한 주택의 근간에 대한 문제일 수 있다.

창조재는 외형적으로 창이 거의 없어 보이는 단독주택이지만, 중정을 중심으로 구성된 1, 2층 공간은 내부에서 충분한 오픈 공간을 확보한 주택이다. 소위 내부 공간에서 개방감에 대한 문제는 창의 크기, 개수 등과 다소 다른 문제로, 공간을 구성하는 원리가 중요한 문제이다.

더불어 창조재에서 고려된 설계 요소는 장기적인 주택의 사용 방법 등에 대한 문제였다. 집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랫동안 우리의 도시에 존속하며, 내가 아닌 타인이 살아갈 수도 있는 건축물이다.

또한 단독주택에서 중정이란 요소는 밀도 높은 도심 주거 공간에서 이러한 다양한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이다. 중정이란 형식이 주택에서 적지 않게 도입되고 있지만, 중정 공간에 대한 세심하고 고유한 디자인적 활용성 등에 대한 논의는 다소 부족한 감이 없지 않다. 창조재의 중정은 단순히 마당이 될 수도 있지만, 창조재의 선택은 마당이 아닌 정원을 선택했다.

마당이든 중정이든 무조건 비운다고 해서 좋은 것만은 아닐 것이다. 공간은 의도하지 않은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과 더불어 고유한 공간으로써 가치 창출을 위해 비우고 채움을 반복할 수 있어야 한다.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한 도심 주거 형식, 중정

필연적인 요구, 도심 단독 주택에서 프라이버시 문제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 필지는 도심 속 주거방식의 대표적인 주거 환경이다.

이러한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 필지는 장기동이든 판교든 혹은 어디든 조성 환경은 몇몇 지구단위계획 요소 이외엔 대체로 큰 차이가 없다.

일반적 해석은 도로, 대문, 마당, 집이란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집짓기가 보편적이라면 보편적 방식이다. 이 경우 가장 큰 문제점은 마당과 내부공간의 프라이버시를 오롯이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건축주와 설계 단계에서 고려된 기본 사항은 라이프 스타일 특성상 실효성 있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한 집을 짓는 것이었다. 김포 장기동 단독주택의 중정은 막연한 비움의 가치에 추종하는 공간이 아니다.

코너 땅의 특성, 이웃집 및 이웃한 타운하우스로부터 거주자의 오롯한 삶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써 중정이란 형식을 빌리고 있는 것이다. 외부에선 인지되는 창이 거의 없는 다소 폐쇄적인 모습의 주택이지만, 중정을 향해 개방된 창은 내부공간에 부족하지 않은 채광과 특별한 공간적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중정이 선사하는 또 다른 풍경

중정의 반전

사이프러스9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중정이 선사하는 또 다른 풍경

중정을 매개한 내부 공간의 개방성


창조재는 외부의 폐쇄적인 외관과 달리 내부 공간은 중정을 매개로 부족하지 않은 개방성을 가지고 있다.

외부가 아닌 중정을 매개한 개방성은 내부공간의 오롯한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충분한 개방성을 가지고 있다. 정원이 된 중정과 테라스는 거주 공간에 또 다른 풍경이 됨에 부족함이 없다.

정원이 있는 중정

중정을 매개한 내부 공간의 개방성


중정은 다양한 성격의 공간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창조재의 중정은 막연히 비워져 있는 중정이 아닌, 풍경이 되는 정원으로 계획되었다.

정원은 계절의 변화와 함께 시간을 표상함과 동시에 한 편의 그림으로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이어주는 매개 공간이 되기도 한다.

중정과 정원의 경계, 담장

중정과 정원을 완성시키는 담장


중정의 경계는 담장이며, 담장은 프라이버시와 더불어 정원을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창조재의 정원은 나 홀로 존재하는 정원이 아니라, 건축과 긴밀하게 연결된 장소이자 공간이다.

집과 정원, 담장 등의 개별 요소는 장소와 공간이란 관점에서 분리될 수 없는 개별 요소들이다. 건축 디자인은 이러한 개별 요소들을 하나의 체계 속에서 상호 관계성의 균형점을 찾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관계성의 균형을 찾는 건축 디자인

풍경이 되는 중정과 정원

사이프러스9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집과 도시가 마주하는 법

이웃과 도시를 위한 배려이자 제스쳐


단독주택은 개인을 위한 공간이며 개인 중심적인 공간이 될 수밖에 없다. 주택 디자인 대부분 라이프 스타일 등 개인을 위한 커스터 마이징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주택은 도시의 구성원이자 일원으로 외부 환경과 관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김포 단독주택 창조재의 높은 천장고는 상대적으로 스케일이 큰 건축물로 완성되었고, 외벽 마감재로 선택된 무채색 외장용 타일 역시 다소 무미건조할 수 있다. 도시와 마주한 도로 경계를 따라 조성된 조경은 타인과 도시를 위한 배려이자 일종의 제스쳐이다.


카카오톡 채널 상담하기
카카오톡 채널 친구추가
Scroll to Top